90년 생이 온다
몇년 전부터 나는 90년대생들의 문화는 그들을 확 규정지어버리는 '특색이 없다'는 생각을 해왔다. 그들의 문화는 전체적으로 70년대생과 80년대생과 비슷한 문화를 공유하는 것 아닌가 하는 느낌.
이 책을 읽으면서도 그런 느낌은 변한게 없다. 사실 이런 류의 책은 큰 기대를 하지 않고 읽는 편이기는 하지만, 정말로 새로운 세대의 탄생을 알리는 듯하던 "신세대 네 멋대로 해라", 또는 "88만원 세대" 같은 책들만큼 깊이로 파고들고 울리는 메시지는 없었던 것 같은데, 책의 깊이와는 별개로, 실제로 90년대생은 그 이전 세대와 본질적인 차이가 없기 때문은 아닐까.
정치나 사회구조도 당시와 비슷하고, 과학기술도 비슷하다. 민주화, 인터넷 보급, IMF, 이런 규모의 변화가 없었고, 다만 리먼사태나 모바일 인터넷처럼 기존의 변화 방향에서 약간의 가속이 붙었을 뿐이다. 90년생이 그 이전 세대와 바뀌어야 할 본질적인 이유가 아직은 안 보이는 것이다.
대기업보다 공무원을 지망한다, 강한 통제방식이 통하지 않는다, 대화보다 메신저가 좋다, 호갱이 되지 말라, ..... 하는 이 책이 지적하는 '90년대 생의 대부분의 특징' 은 그 이전 세대에 대한 각종 책이나 기사에서 반복되어 지적하던 것들이다.
-- 그리고.. 전반적으로 책 내용 어딘가에서 BGM으로 '나 때는 안 그랬는데...' 같은 소리가 들리는 느낌 -_-;;; 이었고 (저자는 80년 생이라고 한다), 마지막 챕터인 소비 트렌드의 변화는 90년대생과는 전혀 관련이 없는데 억지로 한 책에 묶었다는 느낌이 강했다.
책 전체에서 제일 기억나던 건, 90년대생이 영화관에 가지 않는 큰 이유가 영화관에서 핸드폰을 보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었다;;;
덧글
어렸을때부터 스마트폰을 아무런 제한없이 쓰면서 성장한 00년대생이면 모를까 486세대의 꼰대스러운 훈육을 직접 겪으면서 성장한 90년대생이 그렇게까지 자기통제를 못한다는 생각은 안들어요. 심지어 글쓴이가 60~70년대생도 아니고 80년대생이라니.. 아직 젊은 분이 조금 틀딱스러운 책을 냈군요.
그 분들부터 이미 016, 017, 018 같은 번호 있던 시절에도 그러고 살았죠. 뭘 새삼스럽게.
80년대생인데 햊드폰 때문에 영화관 안 간다는건 개그ㅡㅡ;;
90년대생이 다 adhd도 아닐텐데 두시간조차 못 견딜 정도로 폰 중독도 아니고 영화관에서 폰딧불이 짓 하는 아재들 참 많습니다
나중에 보니 블로그를 통해 출간된 책이더군요. 흥이 과했다(...?) 는 느낌이 조금 들었어요